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허리디스크척추관협착증 차이점과 치료법

by 김사무관 2025. 3. 5.
반응형

 

"허리가 끊어질 듯 아프고 다리까지 저려요. 이게 허리 디스크일까요, 아니면 척추관 협착증일까요?"

 

허리 통증은 누구나 한 번쯤 겪는 흔한 증상입니다. 특히 장시간 앉아서 일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들거나, 잘못된 자세를 오래 유지하는 경우 허리에 부담이 가해져 통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허리 통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허리 디스크(추간판 탈출증)'와 '척추관 협착증'이 있는데, 두 질환은 증상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원인과 치료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 원인부터 달라요

  • 허리 디스크 (추간판 탈출증) 척추뼈 사이에 있는 디스크(추간판)는 젤리처럼 말랑말랑한 수핵과 이를 둘러싼 질긴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디스크가 외부 충격이나 잘못된 자세 등으로 인해 튀어나오거나 파열되어 주변 신경을 압박하면 통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허리 디스크라고 합니다. 주로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갑작스러운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가 저리고 당기는 방사통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은 척추뼈 가운데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입니다. 이 척추관이 노화, 퇴행성 변화, 척추 질환 등으로 인해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주로 5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며, 허리 통증뿐만 아니라 다리 저림, 감각 이상, 보행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걸을 때 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쉬었다 가야 하는 '간헐적 파행' 증상이 특징적입니다.

 

2. 증상, 어떻게 다를까요

  • 허리 디스크
    • 허리를 앞으로 숙이거나 앉을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통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허리 통증과 함께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까지 저리고 당기는 방사통이 나타납니다.
    • 심한 경우 다리 근력이 약해지고, 감각이 둔해지거나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척추관 협착증
    •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쉬었다 가야 합니다. (간헐적 파행)
    • 허리 통증보다는 다리 통증이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 등 다양한 부위에 통증, 저림, 감각 이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심한 경우 다리 근력 약화, 보행 장애, 배뇨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치료법, 어떻게 선택해야 할까요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은 증상과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법도 달라집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X-ray, MRI 등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허리 디스크 치료
    • 초기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디스크가 자연적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합니다.
    • 보존적 치료 효과 없을 때 신경 차단술, 신경 성형술 등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심한 통증, 마비 증상 수술적 치료 (미세 현미경 디스크 제거술, 인공 디스크 치환술 등)를 통해 신경 압박을 해소해야 합니다.

 

  • 척추관 협착증 치료
    • 초기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치료, 주사 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통해 통증을 완화하고, 척추관 주변 근육을 강화합니다.
    • 보존적 치료 효과 없을 때 신경 차단술, 신경 성형술, 풍선 확장술 등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심한 통증, 보행 장애, 배뇨 장애 수술적 치료 (척추관 감압술, 척추 유합술 등)를 통해 좁아진 척추관을 넓혀 신경 압박을 해소해야 합니다.

 

4. 허리 건강, 평소 관리가 중요해요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을 예방하고, 허리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평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꾸준한 운동을 통해 허리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바른 자세 유지
    • 앉을 때는 허리를 곧게 펴고,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넣어 앉습니다.
    • 서 있을 때는 허리를 꼿꼿하게 세우고, 턱을 당기고, 어깨를 펴고, 배에 힘을 줍니다.
    • 물건을 들 때는 허리를 굽히지 말고, 무릎을 굽혀 몸에 가깝게 붙여서 들어 올립니다.
    • 잠잘 때는 옆으로 누워 무릎 사이에 베개를 끼우거나, 바로 누울 때는 무릎 아래에 베개를 받쳐 허리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 꾸준한 운동
    •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 유산소 운동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허리 근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스트레칭, 요가, 필라테스 등은 척추의 유연성을 높이고, 근육을 이완시켜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허리 근력 강화 운동 (플랭크, 브릿지, 슈퍼맨 등)은 척추를 지지하는 근육을 강화하여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체중 관리 과체중이나 비만은 허리에 부담을 주어 척추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금연 흡연은 혈액순환을 방해하고,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를 촉진하여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 협착증의 위험을 높입니다.

 

허리 통증은 방치하면 만성 통증으로 이어지고,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허리 통증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고, 평소 올바른 자세와 꾸준한 운동을 통해 허리 건강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