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가지원금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 방법 39세 조건

by 김사무관 2025. 5.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청년내일저축계좌'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2025년 신청기간과 39세까지 확대된 조건에 초점을 맞춰 정리해 드릴게요. 정부의 든든한 지원으로 목돈 마련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청년내일저축계좌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일하는 저소득층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입니다. 본인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추가 지원금을 제공하여 3년 후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특히 주거비, 결혼자금, 교육비 등 미래를 위한 자금 마련에 큰 도움이 됩니다.

 

2025년에는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대상이 확대되었으며, 특히 저소득층 청년의 경우 만 39세까지 신청 가능하여 더 넓은 연령대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규 가입자 모집 일정이 확정되었습니다. 올해 신청을 계획 중이시라면 아래 일정을 꼭 체크해주세요!

 

신청기간: 2025년 5월 2일(금) ~ 5월 21일(수)

 

신청 기간이 약 3주로 제한되어 있어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특히 필요 서류를 미리 준비해두시면 신청 과정이 더 수월할 거예요.

 

참고로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연 1~2회 정도 신규 가입자를 모집하며, 예산 상황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첫날부터 서두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 조건 (39세까지 확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각각 다른 자격 조건이 적용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저소득층 청년의 경우 만 39세까지 신청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1. 일반 청년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연령 조건: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신청 월에 만 19세가 되는 자 ~ 신청 월에 만 35세가 되는 자)
  • 소득 조건: 근로·사업소득이 월 50만원 초과 ~ 월 250만원 이하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정부 지원: 본인 저축액 대비 1:1 매칭 지원 (월 10만원) 

 

2. 저소득층 청년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연령 조건: 만 15세 이상 ~ 만 39세 이하 (신청 월에 만 15세가 되는 자 ~ 신청 월에 만 40세가 되는 자)
  • 소득 조건: 근로·사업소득이 월 10만원 이상
  •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수급자, 차상위계층 포함)
  • 정부 지원: 본인 저축액 대비 1:3 매칭 지원 (월 30만원) 

 

이처럼 저소득층 청년의 경우 연령 범위가 만 15세부터 만 39세까지로 확대되어 있어, 30대 후반의 청년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더 많은 청년들에게 자산형성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정부의 배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 및 적립금

청년내일저축계좌의 가장 큰 매력은 본인 저축액에 정부 지원금이 더해진다는 점입니다. 3년 만기 시 받게 되는 총 금액을 살펴보겠습니다.

 

1. 일반 청년 (기준 중위소득 50% 초과 ~ 100% 이하)

 

  • 월 10만원 저축 시
    • 본인 저축: 10만원 × 36개월 = 360만원
    • 정부 지원: 10만원 × 36개월 = 360만원
    • 3년 후 총액: 720만원 + 이자

 

  • 월 30만원 저축 시:
    • 본인 저축: 30만원 × 36개월 = 1,080만원
    • 정부 지원: 10만원 × 36개월 = 360만원
    • 3년 후 총액: 1,440만원 + 이자

 

  • 월 50만원 저축 시:
    • 본인 저축: 50만원 × 36개월 = 1,800만원
    • 정부 지원: 10만원 × 36개월 = 360만원
    • 3년 후 총액: 2,160만원 + 이자 

 

2. 저소득층 청년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월 10만원 저축 시
    • 본인 저축: 10만원 × 36개월 = 360만원
    • 정부 지원: 30만원 × 36개월 = 1,080만원
    • 3년 후 총액: 1,440만원 + 이자 

 

이처럼 본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 금액이 달라지며, 특히 저소득층 청년의 경우 본인 저축액의 3배를 정부에서 지원받을 수 있어 자산형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방법 (온라인/오프라인)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법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각 방법의 상세한 절차를 알아보겠습니다.

 

1. 온라인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후 회원가입 및 로그인
  2. 상단 메뉴에서 '복지서비스' 클릭
  3. '청년내일저축계좌' 검색 후 서비스 선택
  4. '온라인신청' 버튼 클릭하여 신청서 작성
  5. 필요 서류 첨부 후 제출 

 

온라인 신청은 24시간 언제든지 가능하며,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신청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공인인증서나 본인 확인 수단이 필요하니 미리 준비해두세요.

 

2. 오프라인 신청 방법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1. 신청서와 필요 서류를 준비
  2. 거주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3. 담당 공무원과 상담 후 신청서 제출 

 

오프라인 신청은 담당자와 직접 상담할 수 있어 자신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안내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신청 자격이나 서류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다면 오프라인 신청을 추천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참고 자료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자격을 확인하기 위해 2025년 기준 중위소득 50%와 100%를 알아보겠습니다.

 

가구원 수기준 중위소득 50%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약 115만원 약 230만원
2인 가구 약 193만원 약 386만원
3인 가구 약 248만원 약 496만원
4인 가구 약 302만원 약 604만원

 

※ 위 금액은 2025년 기준으로 변동될 수 있으니, 정확한 금액은 복지로 홈페이지나 주민센터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무리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청년들의 미래를 위한 든든한 발판이 될 수 있는 좋은 제도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저소득층 청년의 경우 만 39세까지 신청 가능하도록 연령 범위가 확대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신청 기간이 2025년 5월 2일부터 5월 21일까지로 한정되어 있으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미리 자격 조건을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년 후 목돈 마련의 기쁨을 누릴 수 있도록 지금부터 차근차근 준비해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1. 김문수 전과기록 7범 팩트체크

2. 청년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요건 완전정복

3. 청년 창업중소기업 세액감면 업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