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편의정보

보건증 온라인 발급 핵심만

by 김사무관 2025. 2. 26.
반응형

 

보건증(건강진단결과서)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식품, 급식 관련 업종 종사자들이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증명서입니다. 과거에는 보건소에서만 발급 가능했지만, 현재는 온라인 발급이 가능하여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보건증 발급 절차

  1. 검사: 가까운 보건소 또는 보건증 발급이 가능한 병/의원에서 검사를 받습니다. (신분증 필수 지참)
    • 검사 항목: 장티푸스, 결핵, 전염성 피부질환, 세균성이질 검사
  2. 결과 확인: 검사 후 약 3~7일 후 결과가 나옵니다.
  3. 온라인 발급: '정부24' 웹사이트 또는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준비물: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카카오톡, PASS 등)

2. 온라인 발급 방법 (정부24)

  1. 정부24 접속: https://www.gov.kr/ 에 접속합니다.
  2. 검색: 검색창에 "보건증" 또는 "건강진단결과서"를 검색합니다.
  3. 발급 서비스 선택: "건강진단결과서(보건증) 발급"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4. 로그인: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합니다.
  5. 신청 정보 입력: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개인 정보를 입력합니다.
  6. 수령 방법 선택: 온라인 발급을 선택합니다.
  7. 발급: 수수료 결제 후 보건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발급 수수료는 무료)
  8. 출력 또는 저장: 발급받은 보건증을 출력하거나 PDF 파일로 저장합니다.

 

3. 추가

정보

  • 유효기간: 보건증의 유효기간은 발급일로부터 1년입니다.
  • 재발급: 보건증을 분실한 경우, 정부24를 통해 재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 검사 비용: 보건소와 병/의원마다 검사 비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검사 결과에 따라 보건증 발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4. 온라인 발급 시 주의사항

  • 본인 인증: 반드시 본인 명의의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을 사용해야 합니다.
  • 정확한 정보 입력: 신청 시 정확한 개인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
  • 출력 상태 확인: 출력 시 프린터 상태를 확인하여 깨끗하게 출력해야 합니다.

 

5. 보건증 관련 문의

  • 관할 보건소: 보건증 발급 관련 자세한 사항은 관할 보건소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정부24 고객센터: 정부24 웹사이트 또는 앱 이용에 대한 문의는 정부24 고객센터(1588-2188)로 문의할 수 있습니다.

보건증은 건강한 사회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증명서입니다. 위 내용을 참고하여 편리하게 온라인으로 발급받으시고, 건강 관리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